ChatGPT 열풍
요즘 뉴스며 블로그, 카페등 여기저기서 ChatGPT 관련 내용이 쏟아지고 있으며 서비스 시작 2달 만에 사용자가 1억 명 돌파하며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예전부터 AI관련한 내용은 많았지만 이번에는 확실하게 열풍이라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폭발적이다. 언젠가는 AI세상이 오겠구나 하는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것에서 이제는 정말 코앞까지 온 느낌이며 활용도는 이루 말할 수없을 정도이며 이와 관련 사회, 법률적인 문제 또한 많이 제기되고 있다. 확실한 건 AI는 더욱더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침투하게 될 것이며,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우리 생활 패러다임이 바뀐 것처럼 AI가 다시 한번 바뀌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ChatGPT가 뭐야?
미국 Open 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공 챗봇인데 Chatbot (대화형 AI)+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합성어입니다. 스마트폰 시리나 빅스비, 기존의 은행이나 대기업 어플의 고객센터 대화형 AI 서비스와 비슷한건데 간단한 질의, 응답, 대응 서비스 수준을 뛰어넘어 사용가 원하는 정보나 결과물을 마치 관련 전문가와 상담이나 의뢰한 것처럼 답변 및 창작을 해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프로그래밍 코드, 보고서, 논문은 물론이고 시나 작곡, 그림 그리기까지 인간만이 가능할 수 있을 거라 여겼던 창작의 영역까지 넘어서고 있다.
ChatGPT 동작원리
GPT-3.5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지도학습과 강화학습을 이용해 만들었다고 한다.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 구조를 학습(코파스)하고 반복적인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검증을 하고 수정해가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에 대해 확률적인 계산을 통해 자연스러운 대답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라고 합니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배우고 경험하면서 성장하듯이 AI도 경험을 통해 계속 발전해 나가는 것입니다.
- 지도 학습 : 예전에 알파고와 같이 기존 사람들이 두었던 기보를 보고 배우게 하는 방법을 지도학습이라 하고 ChatGPT에서는 인터넷에서 얻는 질문, 답변 문장 등 언어 데이터를 통해 학습을 하게 된다.
- 강화 학습 : 기존에는 없었던 것을 스스로 만들어서 검증하면서 학습하는 방버을 강화 학습이라고 한다.
ChatGPT 문제점
요즘 워낙 핫이슈이긴하지만 갑자기 생겨난 게 아니라 예전 알파고 등장을 통해 대중에게 AI가 알려지며, 오래전부터 꾸준하게 연구, 발전해 오던 기술인데 대화형 방식의 챗봇을 통해 일반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며 좀 더 친숙하게 다가온 느낌이다. 하지만 아직 기술적인 한계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고 있는데 많은 학습을 통해 축적된 주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답을 내놓는 수준이지만 아직 학습되지 않은 주제에 대해서는 엉뚱한 답을 내놓기도 하고 사용자의 질문 방식에 따라 전혀 다른 대답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의학 논문 검사 통과했다는 기사와 함께 자기소개서, 리포트, 소설, 그림같은 창작물에 대한 검증등 윤리, 제도, 저작권 등에 대해서도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AI 의 미래
AI를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이고, 더욱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오게 될 것이다. AI는 우리 생활을 좀 더 편리하고 만들어 주고 효율성도 높아지겠지만 사람이 직접 해야만 했던 일을 뺏어가면서 사람이 설자리가 점점 없어진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의 편의를 위해 AI를 만들고 연구하지만 정작 인간은 덜 움직이게 되고 덜 생각하게 되면서 퇴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ChatGPT 가입
- ChatGPT 가입사이트로 이동: https://chat.openai.com
- 이메일 주소를 등록해서 가입하면 바로 사용 가능하다.
ChatGPT 시작
한글로 질문해도 바로 응답을 하긴하지만 영어로 디테일하게 질문할 수록 응답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패권 전쟁 (반도체지원법) (0) | 2023.03.07 |
---|---|
기술 블로그를 시작하며.. (1) | 2023.01.31 |
댓글